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0. Node.js 시작 전 설정하기
    Node.js 2022. 1. 25. 19:36

    *HTML/CSS/Javascript를 한번 쭉 훑어보며 개념들을 머리에 집어넣었고 이를 이용해서 웹페이지를 클로닝 해보는 작은 개인프로젝트까지 마쳤다. 이제는 백엔드 쪽을 조금씩 파볼 준비는 된 것 같다.

    백엔드를 다루는 많은 언어들 중 내가 배우게 될 언어는 javascript기반의 Node.js이다.

    자바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지 Node.js는 또 뭐지? < 딱 이런 상태에서 Node.js 공부를 시작하는 거라 미리 필요한 사전지식이 좀 있어서 이렇게 따로 정리해둔다.

     

     

     

    0. 목차

    1. Node.js란?

    2. Terminal이란?

    3. OS와 리눅스 명령어

    4. Node.js 사용환경 설정하기🔥

     

     

     

     

     

     

    1. Node.js란?

    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 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입니다.

     위 설명이 공식홈페이지에 나와있는 설명이다. 다시 설명하면 이런 의미이다.

    브라우저 상에서만 작동하던 자바스크립트를 브라우저가 아닌 내 컴퓨터 안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 주는 것!

    자바스크립트는 원래 브라우저 내에서의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스크립트 언어로 Node.js의 등장 전까지는 브라우저 바깥에서는 실행할 수 없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 자바스크립트의 문법이 점점 개선되면서, 그리고 자바스크립트를 해석하는 엔진 중 크롬이 제공하는 V8엔진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자바스크립트는 이제 단순히 브라우저의 스크립트가 아닌 컴퓨터 자체를 조작할 수 있는 강력한 언어가 된 것이다. 이로인해 자바스크립트로 서버의 구축이 가능해졌고 백엔드 개발에 이용되고 있다.

     

    그럼 컴퓨터에서 동작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터미널을 통해 실행이 된다는 것!

     

     

     

    2. Terminal이란?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한번은 이런 터미널 화면을 켜보게 된다. 터미널은 간단히 말하자면 컴퓨터를 텍스트로 조작할 수 있는 창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는 바탕화면의 아이콘을 눌러 폴더를 들어가고, 파일을 만들거나 삭제하는 일에 더 익숙하다. 이렇게 시각적인 요소로 표현되는 컴퓨터를 GUI(Graphic User Interface)라고 한다.

    반면, 저런 단조로운 검은 바탕에 텍스트로 입력하여 파일의 생성, 삭제 등의 조작을 하는 것을 CLI(Command Line Interface)라고 한다. 아이콘의 클릭이 아닌 명령어의 입력으로 컴퓨터와 소통하는 것이다.

     

    그럼 어떤 명령어를 입력해야하고 컴퓨터는 그 텍스트를 어떻게 이해하는 걸까?

    👉리눅스 명령어를 이용해야한다! 그리고 OS에 대해 조금 알아야한다

     

     

     

     

    3. OS와 리눅스 명령어

    OS란?

    OS = Operating System = 운영 체제

    이 파트는.. 너무너무 큰 파트라서 일단 오늘 배운 내용을 위주로 짧게 정리를 해보겠다.

    OS는 컴퓨터 하드웨어와의 직접적인 소통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이다.

    Windows, MacOS, 모바일에서는 android와 iOS, 그리고 Linux와 Unix가 있다.

    맥은 그냥 터미널에서, windows는 WSL을 설치하면 리눅스 명령어를 사용해 컴퓨터를 조작할 수 있다.

     

     

    리눅스 명령어 정리

    • cd : 디렉토리 변경
    • pwd : 현재 디렉토리 출력
    • ls (ls -a, ls -l, ls -al) : 현재 디렉토리 내의 파일 출력
    • mkdir : 새로운 디렉토리 생성
    • vi : 파일쓰기
    • cat : 파일 내용 출력
    • clear : 터미널 화면 초기화
    • curl : url로 원하는 웹 상의 파일을 가져올 수 있음

     

     

     

     

    4. node.js 사용환경 만들기

    4-1. homebrew 설치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 *m1 맥 : https://designdepot.tistory.com/209 ) 👈꼭 해줘야함!

     

    4-2. node.js 설치

    brew install node

     

    4-3. nvm설치

    brew install nvm

    (*참조 : https://somjang.tistory.com/entry/macOS%EC%97%90-nvm%EC%84%A4%EC%B9%98%ED%95%98%EB%8A%94-%EB%B0%A9%EB%B2%95-feat-brew )

     

    4-4. LTS버전의 node 설치

    nvm install --lts

     

    ❗️각 단계별로 -v 혹은 --version 을 입력해서 command not found가 아닌 해당 패키지의 버전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확인해두자!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Hash와 JWT  (0) 2022.03.03
    4. HTTP 프로토콜, 쿠키와 세션  (0) 2022.02.14
    3. Node.js - 로그인 기능 구현  (0) 2022.02.07
    2. Node.js - 게시판 CRUD 구현  (0) 2022.02.07
    1. Node.js 시작해보기  (0) 2022.01.26
Designed by Tistory.